군산 근대문화거리관광을 위한 최고의 접근성
전라북도 군산시 금광동에 있는 한국 유일의 일본식 사찰 우리나라에 남겨진 유일한 일본식 사찰로 화려한 단청이 있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아무런 장식이 없는 대웅전의 장식없는 처마와 외벽의 많은 창문이 일본식 사찰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1913년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승려 우치다(內田)에 의해 '금강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동국사는 한국의 전통사찰과는 다른 양식을 띠고 있습니다.
주요 건물은 대웅전, 요사채, 종각 등이 자리하고 있는데, 8·15광복 뒤 김남곡 스님이 동국사로 사찰 이름을 바꿔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인 선운사의 말사입니다.
대웅전은 요사채와 복도로 연결되어 있고, 팔작지붕 홑처마 형식의 일본 에도(江戶) 시대의 건축양식을 띠고 있습니다. 건물 외벽에는 창문을 많이 달았고, 우리나라의 처마와 달리 처마에는 아무런 장식도 없는 특징을 하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지어져 현재까지 남아 있는 일본식 사찰은 모두 없어지고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곳입니다.
특히 동국사 대웅전은 2003년에 등록문화재 제6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1913년 일본인 승려 우치다대사(內田佛師)에 의해 금강사라는 이름으로 건립했는데 당시 일본에서 모든 건축자재를 들여와 공사를 하였다고 합니다. 동국사 입구에는 대리석 대문기둥이 서있는데 기둥 양편에는 금강사(錦江寺)라는 옛 사찰의 명칭과 소화 9년(1934)이라는 음각기록이 새겨져 있는데 누군가 일본 천황의 연호인 소화 글씨 위에 시멘트로 글씨를 지우려는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